지원구분 | 지원금 한도 | 사업기간 | 접수형태 |
---|---|---|---|
기초 |
최대 50백만원 (총 사업비의 50% 이내) |
6개월 |
온라인 접수 (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) |
동일수준 |
구분 | 지원내용 |
---|---|
S/W | 스마트공장의 활용도와 보급수준 향상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스마트공장 설비와 연계시스템의 구축·연동 지원 |
H/W |
IoT, 5G, AI,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과 연동 자동화장비·제어기·센서 등 지원 * 제조 데이터 수집·저장 인프라 구축 등 포함 |
지원유형 | 지원조건 | 지원금(최대) | 사업기간 |
---|---|---|---|
기초단계 | - 스마트공장 신규 구축 | 0.5억원 | 6개월 |
기초단계 (동일수준) |
- 수준향상 없이 재신청하는 경우 * 기초 → 기초 |
0.5억원 | 6개월 |
수준구분 | 수준요약 | 상세내용 | 지원유형 |
---|---|---|---|
Lv. 0 | 미적용 | ①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못한 상태, Excel 정도 활용 | 스마트공장 미해당 |
Lv. 1~2 | 기초 생산정보 디지털화 |
① 공장 내 이력관리 및 생산정보의 디지털화(전산데이터) 수준 - 구매·재고 등 엑셀수기 관리 데이터를 시스템 전산입력 ② 제품의 생산이력 관리 - 공정관리수준(POP) |
기초 |
Lv. 3 | 중간1 생산정보 실시간 수집/분석 |
① 생산설비, 공정, 자재 및 제품정보의 실시간 수집 및 분석 수준 - 생산정보를 통해 불량원인 가늠, 효율적 생산계획 수립 ② 수집/분석된 정보를 이해 관계자에게 의사결정 자료로 제공 |
고도화 |
Lv. 4 | 중간2 시스템을 통한 공정제어 및 자동화 |
① 수집/분석된 생산정보를 토대로 원인에 해당하는 시스템이 스스로 판단하고 제어해 자동화된 실행 | 고도화 |
Lv. 5 | 고도화 맞춤형 유연생산 지능형공장 |
① 사물인터넷(IoT), 사이버 물리 시스템(CPS) 기반의 완전한 지능형 공장 ② 고객의 요구에 즉시 생산·배송하는 맞춤 서비스 공장 |
고도화 |
구분 | 지원유형 | 신청자격 | 컨소시엄구성 | |
---|---|---|---|---|
기업규모 | 목표수준 | |||
도입기업 | 기초단계 | 포항 내 | · 기초단계 구축 예정기업 | 도입기업, 공급기업 컨소시엄 구성하여 신청 |
기초단계 (동일수준) |
중소·중견 제조기업 | · 수준향상 없이 재신청하는 경우 | ||
공급기업 |
- 스마트공장 보급기술 및 역량을 보유한 기업 및 협업체 * 사업참여를 원하는 공급기업은 인력, 실적 등을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에 입력 필요 |